우리 동네 인근에 있는 'Little Red School House'
Nature Center 공원 내에 위치한
'Little Red School House'를 볼때 마다
그 조그마한 붉은 아름다운 학교 건물이 항상
그 무엇을 연상케 했습니다. 그것은 다름아닌 80년대 초
고국서 인기몰이를 하던 그 청순한 인기 드라마
'초원의 집'을 떠오르게 했습니다.
아래 손가락 버튼과 구독+를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초원의 집(Little House in the Big Wood)이 생각나는 'Little Red School House'
요즘에야 수많은 외국 TV 시리즈물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안방으로 들어오지만, 막 컬러 TV가 보급되기
시작했던 80년대 초에는 몇 안 되는 TV 시리즈물이 안방극장에서 큰 호평을 받은 바 있습니다.
그중 일요일 낮의 평온한 시간대를 점령했던 정말 평온한 시리즈물이 하나 있었는데,
<초원의 집>이라는 이름의 미국 TV드라마였습니다.
초원의 집(Little House in the Big Woods)은 미국의 동화작가 로라 잉걸스 와일더(1867년-1957년)의
동화이다. 1932년에 딸 로즈의 권유로 발표하였고, 삽화를 그린 삽화가는 당시 20세의 청년이자
신인 삽화가였던 가스 윌리엄즈(1912년~1996년)이다. 1870년대 미국 서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소녀 로라 잉걸스와 그녀의 가족들을 통해서 18살때까지의 작가의 삶과 미국의 근대사를 묘사하였다.
작품이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연재를 시작, 1970년에 마지막 연재소설이 출판되었다.
Little Red School House
이 학교 학생들이 1932년도 쿡 카운티 경연 대회에 나가서 따온 '참피온 페난트'들입니다. 1890년도의 학생들이 사용한 칠판과 백묵
그 당시 학생들의 성적표 그 당시 학생들의 졸업 증명서인 졸업장
이 학교가 이지역 개척민들을 위해 건립된지 벌써 122년이 넘었습니다. 그 당시 이 지역에 학교로는 유일한 학교였지만 지금은 이 지역에 수십개의 초 중 고등 학교가 건립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소수의 대학까지도 자리잡고 있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그 당시 개척민들은 여기에 이주해 와서 제일 먼저 조그마한 학교를 건립했다는 사실입니다. 지금 고국의 교육열이 한국을 반전시켰듯이 그 당시의 교육열 역시 대단했던 것이 지금의 미국을 건설했다고 볼수 있지요,
지금 학교 건물내에는 학습용 동식물의 표본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학교의 역사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School Bell 이 학교에서 선생님이 쓰시던 초인종 같은 물건 학생들의 주의를 환기시킬때 사용하던 기구로 정확한 이름이 생가나질 않습니다. 개척 초기에 처음으로 지어진 학교 모습
One-Room 학교 모습 요즘 시골에서 한 선생님이 몇 학생을 가르치는 모습과 같습니다.
이 지역 초기 개척 당시의 학생들의 모습 지금 이 학생들은 모두들 하늘 나라에 계시겠지요. 이 자료들이 미국의 귀중한 역사이지요. 초기 개척 당시 이 자방의 유행했던 옷 모습과 패션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좋은 민속 자료이기도 합니다. 그 당시 공부하고 있는 모습 그 당시 학생들의 의젓한 모습 좀 개구쟁이 같은 면도 엿볼수 있습니다.
그 당시 학교 실내 모습 모형
지금은 학생들이 견학와서 그 당시 모습을 생각하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 아름다운 학교 건물을 역사의 유물로 길이 보전하고 있습니다. 주근깨 소녀 '로라'가 언덕위 저 조그마한 학교에서 공부를 마치고 책과 도시락을 들고 달려 내려올 것 같은 그런 풍경입니다. 오늘은 <초원의 집>을 생각하면서 이 지역 초기 개척시대의 유적지인 'Little Red School House'에 대해 잠시 그 당시를 회상하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미국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의 달에 온가족이 뒷뜰 데크에서 함께 즐기는 바베큐 [미국식 바베큐] (0) | 2013.05.19 |
---|---|
미언론도 극찬한 싸이 시건방춤 응원속에서 시즌 3승을 한 '류현진' (0) | 2013.05.03 |
어린 꿈나무들의 축제인 실내 농구 경기를 보다. (0) | 2013.03.28 |
김연아 덕분에 해외 동포들이 활짝 웃으며 살판 났습니다. (0) | 2013.03.18 |
큰 눈이 내려 두문불출하고 집에서 내다 본 '3월의 설경' (0) | 2013.03.13 |